킥스타터에서 모금에 성공한 프로젝트 제작자들은 다음 프로젝트를 위해서 또다시 킥스타터를 찾고 있습니다.
왜 그런 것일까요?
킥스타터 블로그에는 킥스타터로에서 여러 프로젝트를 런칭하는 제작자들에 대해 조사한 글을 포스팅하였습니다.
(아래 글에 대한 모든 저작권은 킥스타터에게 있습니다.)
스마트 와치로 유명한 페블의 첫번째 프로젝트는 $1천만불에 달하는 금액을 성공리에 모금하였고, 그들의 마지막 프로젝트는 $2천만불에 육박하는 모금액을 기록하였습니다만, 이는 많은 이로 하여금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 행동이긴 합니다. 하지만 현실은 매일 많은 수의 프로젝트 제작자들이 킥스타터를 다시 찾고 있다는 것입니다. 한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런칭한 제작자들은 $5억 1천 1백만불의 금액을 모금하였고, 이는 킥스타터 전체 모금액의 1/3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(2015년 3월 기준).
22,000여명의 제작자들(전체 제작자 수의 12%)은 1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런칭했습니다. 이유는 다음 내용을 보면 쉽게 이해 할 수 있습니다.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운영한 제작자가 돌아올 경우 그 프로젝트의 자금 모금 성공율이 킥스타터 평균 성공율의 거의 두배에 가깝기 때문입니다. - 게다가 추후 프로젝트의 경우 더 높은 성공율을 보입니다.
성공한 이전 프로젝트 수 | 다음 프로젝트의 성공률 |
1 | 73% |
2 | 80% |
3 | 87% |
4 | 87% |
5 | 91% |
킥스타터는 프로젝트 제작자들이 계속해서 새로운 팬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합니다. 아래 표에서는 제작자가 다수의 프로젝트를 모금하였을때 평균적인 후원자들의 수를 볼 수 있습니다.
제작자들은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능력이 킥스타터를 이용하는 가장 좋은 점이라고 이야기합니다. - 그리고 이것은 모금보다 더 중요한 포인트 입니다.
몇몇의 프로젝트 범주에서는 모금을 성공한 제작자가 또다른 프로젝트를 런칭하는 것은 다른 범주보다 일반적인 일 입니다. 아래 표에서는 각각의 범주에서 1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런칭하는 제작자의 비율을 보여줍니다.
그럼 각 범주별 프로젝트 성공률을 보도록 하겠습니다.
첫번째 열은 모든 프로젝트 제작자의 성공율을 보여주며 두번째 열은 첫번째 프로젝트의 성공/실패에 상관없이 두번째 프로젝트를 런칭했을 경우의 성공율을 보여줍니다.
범주 |
첫번째 프로젝트 성공률 |
두번째 혹은 |
성공률 증가율 |
게임 | 26% | 56% | 116% |
기술 | 21% | 36% | 75% |
제작 | 23% | 40% | 73% |
디자인 | 31% | 50% | 60% |
출판 | 29% | 41% | 41% |
만화 | 45% | 62% | 39% |
패션 | 24% | 33% | 35% |
음식 | 28% | 35% | 26% |
사진 | 30% | 36% | 21% |
언론 | 25% | 30% | 20% |
미술 | 42% | 50% | 18% |
춤 | 64% | 75% | 16% |
연극 | 61% | 67% | 9% |
음악 | 53% | 57% | 9% |
영화&비디오 | 39% | 41% | 6% |
몇몇의 범주에서 성공률의 더 많은 증가를 보여주지만 전체적으로 성공률이 증가하였습니다.
이 통계자료는 커뮤니티와 성장하고 유지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플래폼(킥스타터)의 진정한 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
처음부터 큰 성공을 이루기는 쉽지 않습니다. 하지만 꾸준한 도전만이 진정한 성공을 불러올 수 있지 않을까요?
미국 크라우드 펀딩에서의 성공을 위해 오늘도 최선을 다하는 여러분을 위해 비즈라인도 함께 달리겠습니다.
미국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성공의 시작
비즈라인이 함께 합니다.
전화번호:
(미국) 1.212.933.9732
(한국) 070.7663.2232
EMAIL : support@vizline.com
www.VizLine.com
댓글